스킵네비게이션

BUSAN HANGUN HOSPITAL BEOMCHEON CAMPUS 전문센터
메뉴선택

직장류

직장류

대장항문클리닉

여성의 직장과 질벽 사이를 지지하는 결합조직이 약해지면서 직장의 벽이 질 방향으로 탈출 하는 현상.

정의

골반저 근육과 인대의 지지가 약해지면서 직장의 앞 쪽 벽이 처지면서 질 안으로 돌출되고, 심한 경우 질 입구 밖으로 튀어 나올 수 있습니다.

직장류

역학
  • 여성에 발생, 특히 출산 경험이 있는 중년 이상의 여성
  • 위해 요인: 임신, 출산, 비만, 폐경, 노화
  • 여성 호르몬 감소로 인해 질벽의 탄력이 떨어집니다.
  • 여성의 31-80%
  • 직장류 단독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다른 골반장기 탈출증(예:방광류, 자궁탈출증, 직장탈출증)과 동반되기도 합니다.
  • 경증의 경우 증상을 느끼지 못해 과소 진단됩니다.
증상
  • 골반 압박감 또는 불편감 골반 부위의 무거움과 압박감을 느끼며, 시간이 지날수록 증상이 악화
  • 질 내부 돌출 질 안쪽에 무엇인가 돌출된 느낌, 심한 경우 질 입구 밖으로 탈출
  • 배변 곤란 불완전 배출, 시원하지 않고, 배변시 힘을 많이 줘야 하고 때로는 손가락으로 질벽을 눌러야 변이 배출되기도 한다.
  • 만성 변비 직장에서 변이 배출되지 않아 잔류하는 변이 딱딱해 진다.
  • 성교통 성관계의 불편감, 통증
  • 기타 증상 요실금, 변실금 등과 같은 배뇨장애, 배변 장애, 질탈출에 의한 미란, 궤양, 분비물, 피부 변화, 패드 착용
원인
  • 임신과 출산 질식 분만 중 골반저 조직과 근육이 늘어나거나 손상
  • 노화 및 호르몬 변화 노화로 골반저 근육과 결합조직의 약화, 폐경후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한 조직의 탄력이 약화
  • 만성 복압 증가 반복적인 복압 상승 (변비, 만성 기침,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드는 직업, 비만)
  • 골반저 손상 골반 수술 (자궁적출술)
  • 유전적 요인 결합조직 약화에 대한 유전적 소인
  • 기타 요인 사고나 외상으로 인한 골반저 손상, 장시간 앉아 있는 생활 습관
분류
  • 크기
    Small < 2cm 거의 증상을 느끼지 못한다. 배변 불편감
    Medium 2 - 4cm 질 후벽의 탈출로 배변 곤란, 변비, 골반 압박감
    Large > 4cm 질 외부로 돌출, 일상 생활, 배변 및 성생활에 영향
  • 단독 직장류(직장류만 존재)
    단독직장류 – 변비, 변누출

    치골직장근의 이완 부전

  • 복합 직장류(방광류, 자궁탈출, 직장탈출 동반)
    복합직장류 – 변실금

    직장탈출증 동반 및 회음 하강

  • 위치 상부, 중부, 하부
  • 모양 L type rectocele, λ type rectocele

진단

  • 1병력 청취주요 증상: 배변 장애, 변비, 질 탈출감, 골반 압박감, 성교토
    병력: 출산 경험, 만성 변비, 골반 수술 이력, 가족력 등 확인
  • 2이학적 검사시진과 항문 직장 수지 검사
  • 3항문 직장 기능검사 및 영상검사내시경, 항문직장 내압 검사, 배변 조영술, 골반 MRI, 항문 직장 초음파 검사

직장류의 치료

보존적 치료

생활 습관 개선

  • 변비 관리 배변 습관 개선 및 식이 조절 수분 섭취 : 고섬유질 식단, 충분한 수분 섭취, 규칙적인 배변 습관, 변의를 느낄 때 바로 화장실 가기
  • 체중 감량 비만은 골반저에 가해지는 압력을 증가
  • 복압 감소 무거운 물건 들기, 과도한 힘주기, 만성 기침 등 복압증가 행동 회피

골반 근육 강화운동

  • 케겔 운동 골반저 근육의 수축과 이완 반복
  • 골반저 물리치료 의료진의 지도 하에 골반 근육 강화, 이완 운동

질내 삽입기구: 페사리,Pessary

바이오피드백: 배변시 골반저 근육의 올바른 사용 훈련

약물 치료

배변 완화제, 과민성 장 치료제

  • 원활한 배변을 위한 약제 및 식이섬유의 병용 요법

호르몬 요법

  • 폐경후 여성의 호르몬 보충
수술적 치료

주요 적응증

  • 심한 증상 배변 곤란, 만성 변비, 골반 압박감, 질 돌출감
  • 성생활 장애 (성교통)
  • 재발성 감염 직장류로 인한 반복적인 질염이나 요로 감염이 발생

직장류의 크기와 진행

  • 중등도 이상 직장류가 질벽을 뚜렷하게 돌출하거나 외부로 탈출
  • 진행성 직장류: 시간이 지날수록 증상 악화, 골반장기탈출증 동반

비수술적 치료 실패

  • 케겔운동, 페사리 삽입, 변비 관리 등 6개월 이상 치료에 증상의 호전이 없는 경우

동반 질환이 있는 경우

  • 방광류, 자궁탈출증 등 다른 골반 장기 탈출증이 직장류와 동반하는 경우

환자의 삶의 질의 저하

  • 일상생활, 업무, 사회 활동이 위축되거나 제한되는 경우

수술방법

질 접근법
  •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질을 통해 약화된 직장질벽을 복구한다. 경도의 단독 직장류에서 증상 개선을 기대.
  • 장점수술이 간단하고 회복기간도 짧다. 합병증이 적다
  • 단점재발
회음부 접근법
  • 횡행 회음근육 상방으로 접근 직장질 중격을 박리, 항문거근 성형, 직장질 중격벽을 재건 및 외괄약근 성형하는 근본 수술법.
  • 중등도 이상의 복합 직장류로 배변 장애나 회음괄약근 손상이 동반된 경우 시행.
  • 장점근본 수술로 수술 후 결과가 보장되고, 자가 조직을 이용하여 정확한 복구가 가능
  • 단점회복기간이 길고 합병증(출혈, 감염, 창상 치유 지연) 발생 가능. 수술 후 통증, 불편감이 오래 가고 성교통이 동반될 수 있어 고령의 변비, 변실금 환자에서 시행
항문 접근법
  • STARR(자동봉합기를 이용한 경항문 직장절제법) 최신 기술로 질 접근법을 대체
  • 장점간단한 수술, 빠른 회복. 질 손상 없어 합병증(성교통) 최소화, 젊은 연령에 사용 가능
  • 단점술 후 배변 급박감, 직장통, 잔류 직장류

복합 직장류의 수술 방법

복강경 수술
  • 직장류와 함께 방광류, 자궁탈출증, 직장탈출증 등 다른 골반 장기 탈출증이 동반된 복합직장류의 경우 이를 동시에 복구하는 수술로 시행 가능
  • 질 후방 탈출의 근본원인으로 파악되는 자궁천골인대와 직장질벽의 약화 및 직장탈출증에 대한 근본 수술
  • 장점높은 수술 성공률, 최소 침습 수술로, 빠른 회복, 낮은 재발률, 낮은 합병증 흉터가 거의 없다.
  • 단점전신마취, 전문적인 수술 기술 필요, 고령, 쇠약 환자에서 수술 불가능
특이 사항
  • 수술 후 3주 이내 고정부위 터짐 현상(1% 미만)
  • 수술 후 6주 – 8주 정도 변비 발생
  • 합병증 모니터링: 감염, 출혈, 재발, 배변 장애 등 합병증 발생 여부 6개월 관찰
  • 수술 후 재활 필요: 골반저 운동
수술의 예후
  • 수술의 성공은 증상, 기간, 수술 방법에 따라 다르다.
  • 모든 수술에는 출혈, 감염, 새롭게 발생하는 수술 부위 통증, 성교통, 대변 실금, 직장질루 등의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다.
  • 재발이나 오히려 악화되기도 한다.
  • 환자의 약 75-95%에서 유의미한 증상의 개선을 보인다. 수술 후 2년이 지나면 증상 개선의 효과가 약 50-60%까지 떨어진다.
  • 직장류 수술에 익숙하고 경험이 풍부한 외과의사가 좋은 결과를 제공한다.

골반저질환클리닉 수술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체건수 92 89 99 124 308
질환별
건수
방광탈출 수술
(TOT)
19 16 12 7 26
방광탈출 수술
(기타)
2 0 0 0 0
복강경하 방광 탈출 및
질 고정술
0 2 26 12 2
복강경하
천골고정술
9 9 4 30 59
직장탈 수술
(경회음, 장관절제 동반)
22 16 19 15 32
직장탈 수술
(경회음, 장관절제 미동반)
26 29 21 26 32
복강경하
직장고정술
14 17 17 34 38
변실금 89 107 68 63 119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