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탈출은 장의 마지막 부위인 직장이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 항문을 통해 밖으로 탈출되는 상태.
주로 노년에서 발생하지만, 소아나 젊은 성인에서도 발생합니다. 항문을 통해서 탈출되어 치핵으로 오인하는 수가 있으나 직장탈출과 치핵 탈출은 명백하게 구분되며, 이는 전문가의 육안으로 쉽게 식별됩니다.
여성 | 여성에서 남성보다 흔하며, 남녀 발생 비율은 1:6 - 1:9 정도이다. 폐경 이후 여성에서 발생 위험이 높다. |
남성 | 남성 발생률은 낮지만, 만성변비, 전립선 비대증 또는 항문직장 및 골반 수술, 과거력이 있는 경우 위험이 증가한다. 젊은 시절 발생한 직장 탈출은 자연적으로 항문으로 들어가는 경향이다. 이후 노화 및 퇴행성 변화로 괄약근이 약해지면서 탈출된다. |
소아 | 소아에는 드물지만, 영양실조, 감염성 설사와 연관이 있다. 낭포성 섬유종(Cysticfibrosis), 선천 거대결장(Congenital megacolon) 등 유전적 질환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
환자의 연령, 전신 상태, 직장탈출증에 의한 증상, 심한 정도, 및 동반 질환의 유무에 따라 맞춤 치료 방법이 차등 적용된다. 주로 회음 접근법과 복강경 수술을 시행한다.
직장탈출, 자궁탈출, 방광탈출이 동반된 경우 -
대장항문과 의사, 부인과의사, 비뇨기과 의사 등 다학적 치료가 필요하나,
우리 병원은 골반회음의사(Pelviperineologist)에 의해 One-step treatment 가능!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
전체건수 | 92 | 89 | 99 | 124 | 308 | |
질환별 건수 |
방광탈출 수술 (TOT) |
19 | 16 | 12 | 7 | 26 |
방광탈출 수술 (기타) |
2 | 0 | 0 | 0 | 0 | |
복강경하 방광 탈출 및 질 고정술 |
0 | 2 | 26 | 12 | 2 | |
복강경하 천골고정술 |
9 | 9 | 4 | 30 | 59 | |
직장탈 수술 (경회음, 장관절제 동반) |
22 | 16 | 19 | 15 | 32 | |
직장탈 수술 (경회음, 장관절제 미동반) |
26 | 29 | 21 | 26 | 32 | |
복강경하 직장고정술 |
14 | 17 | 17 | 34 | 38 | |
변실금 | 89 | 107 | 68 | 63 | 119 |